Product Management Boot camp
-
[코드스테이츠 PMB14] 지라(Jira)로 애자일하게 일하기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19. 22:41
살면서 팀플 한 번쯤 해보셨나요? 팀플 무임승차, 갑자기 멀쩡하신 친척 돌아가심, 잠수, 보노보노 등... 팀플이란 단어 하나로 여러 연관 단어를 나열할 수 있을 듯한데요. 또 많은 사람이 팀플에 관련된 일화가 밈(meme)에 공감하기도 합니다. 협업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직에서 협업은 필수입니다. 채용 시 직군을 가리지 않고 자격요건에는 '여러 부서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능력'을 요구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애자일하게 움직이는 조직인만큼 Being Agile 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협업이 중요하면서도 어렵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사람들은 협업에 도움닫기가 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합니다. 대표적인 협업 툴로 노션, 팀즈, 아사나, 슬랙, 트렐로, 국내..
-
[코드스테이츠 PMB14] 애자일과 스크럼 그리고 스프린트... 도대체 그게 뭔데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18. 14:58
사람들과 일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워터폴과 애자일 프로젝트 방법론을 비교하는 글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아니지만 애자일이 막 떠오르는 그 당시, 워터폴은 구식이고 꼰대 기업에서 하는 방식이니 별로다, 애자일이 트렌디하고 젊은 기업에서 차용하는 방식이니 좋다 등의 기조가 있었던 것 같아요. 하지만 그 방식의 옳고 그름을 떠나 일의 범위, 리소스, 시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방법론을 결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워터폴(Waterfall) 방법은 ‘요구사항 ➡️ 분석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운영’ 순으로 step by step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단계별로 업무가 순서에따라 완성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형식이 폭포수처럼 내려가는 것과 같아서 워터폴 방법이라..
-
[코드스테이츠 PMB14] 지그재그와 에이블리 다음에 브랜디, 브랜디는 어떻게 1등할 수 있을까? (feat. 애자일 방법론)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14. 23:45
쇼핑몰 모음 서비스 부동의 3위, 브랜디 요즘 인터넷 쇼핑 어떻게 하시나요? 최근 특정 인터넷 쇼핑몰에 직접 유입되는 경우보다는 다양한 쇼핑몰을 한 곳에 모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플랫폼 형식의 여성 패션 앱이 선두에 섰습니다. 여성 패션 앱은 지그재그를 시작으로 에이블리, 브랜디가 대표적입니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패션 버티컬 플랫폼(쇼핑몰 모음 서비스)이라 부릅니다. 특히 지그재그, 에이블리, 브랜디는 수만개의 개인 쇼핑몰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플랫폼이며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대형 기업의 브랜드 제품도 입점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쇼핑에 있어서 퍼널은 보편적으로 "인지 > 흥미 > 검색 > 행동(구매) > 재구매" 단계로 전환됩니다. 아래는 오픈서베이에서 2022년 4월에 발행한 의 쇼핑몰 모음 서..
-
[코드스테이츠 PMB14] 스타벅스 충전하기 서비스에 클라와 서버와 DB 다시 생각해보기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12. 22:23
오늘은 지난 포스팅을 다시 회고하면서 수정과 보충을 해보려고 합니다. 스타벅스 충전하기 서비스 플로우를 분석해본 그날 이후 2주간 기초적인 개발 지식을 배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활용, 린 분석,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데이터 리터러시), html/css/자바스크립트, 앱의 형태(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API, Git 등... 여전히 어려운 개념이지만 실무에서 업무를 진행하면서 더욱 체화할 수 있다고 믿어요.... 믿습니다.... 그렇게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지난 포스팅을 다시 보고, 유저의 행동을 다시 그려보고, Flow chart를 만들어보려 합니다. 그리고 각 이벤트마다 UI, 클라이언트, 서버, DB가 각각 어떻게 보이고 작동할지 예상해보겠습니다. 지난 글 다시보기에..
-
[코드스테이츠 PMB14] '카카오로 로그인하기' 절대 못 잃어(feat. 오픈 API 기능과 구조 이해하기)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11. 17:04
예전... 아주 잠시 참여했던 사이드프로젝트에서 개발자와 PM의 대화에서 'API 확인해봐야할 것 같아요', '그 기능 오픈 API로 어떻게 될 것 같은데' 같이 API 라는 녀석이 자주 출몰했었습니다. 그땐 눈동자 👀 이리저리 👀 굴려가면서 무슨 말이지 이해하려고 여기저기 찾아보다가 어느정도 '아 이런거겠구나!' 대충 아는 척 했지만, 오늘 실제 Opne API 의 기능과 구조를 보면서 차근차근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개념부터 다시 살펴보면요. API 란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로 어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API 의 풀네임을 적으면서 더 헷갈리는데요. 쉽게 말하자면, 은행에서 돈을 입금하려고 합니다. 그러기위해 은행시스템을 다 이해해..
-
[코드스테이츠 PMB14] 네이티브 앱? 웹 앱? 앱의 형태와 장단점 비교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7. 21:38
애플에서 아이폰이 나오던 때가 아직도 생생합니다. 저는 그땐 고등학생이라 스마트폰이 아닌 아이팟 터치를 사용했습니다. 그걸로 스마트폰 있는 사람들과 카카오톡 주고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 앱스토어에서 별의 별 기능을 가진 앱들이 많았던 것 같아요. ㅎㅎ 스마트폰 성장과 함께 웹 브라우저도 모바일 사용이 용이하도록 형태가 바뀌었습니다. 그렇게 현재 크게 1) 네이티브 앱 , 2) 모바일 웹앱, 3) 웹 앱, 4) 하이브리드 앱 총 네 가지 형태로 나뉘어집니다. 오늘은 앱의 네 가지 형태의 역할과 장단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네이티브 앱: 내가 쓰는 스마트폰에 최적화 네이티브 앱이란? 네이티브 앱이란 스마트폰의 운영 체제(iOS, Android) 에 맞춰 개발된 프로그램입니다. 네이티브 앱을 개발하려면 ..
-
[코드스테이츠 PMB14] 퍼블리 웹의 랜딩페이지 구석구석 파헤쳐보기(html, css, javascript)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6. 23:10
일단 퍼블리는 원래 알고있던 서비스였는데, 최근 멤버십을 결제하면서 이용해보니 정말 좋은 서비스더군요... 정말 생계활동을 위해선 필요한 녀석입니다. 오늘은 퍼블리 웹 랜딩페이지를 html, css, 자바스크립트 총 세가지 요소가 어떻게 구조되어있는지 살펴보려합니다. 제목은 비범하게 퍼블리 웹 랜딩페이지를 구석구석 들여다볼 것처럼 적어놨지만, 어디서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하지만 해보면서 배우는 개발 기초 지식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퍼블리를 웹으로 접속했을 때 첫 랜딩페이지입니다. 해당 페이지를 html, css, 자바스크립트 순으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퍼블리의 HTML 구조 - (CSS를 포함한 이미지로 설명) HTML 구조는 찐 그림을 그리기 전 대충 여기에 이거 그..
-
[코드스테이츠 PMB14] '불법복제물' 사용 경험을 데이터 시각화하여 가설 세우기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10. 4. 22:25
제 글을 조금 보신 분들이라면 제 관심사가 무엇인지 눈치채셨을 것 같습니다. 사실 관심사야 많지만 블로그에서 다룬 프로덕트로 유추해보면 영어학습(스픽, 레미)과 서적(리디, 카카오이모티콘, 카카오웹툰, 뉴닉)입니다. 그 중에서도 저는 서적, 즉 '이야기 창작물'에 관심이 많은 듯 합니다. 오늘은 제 관심사에 대한 데이터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야기 창작물' 불법 다운로드 인식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찾고, 그 데이터를 KTX 타고 지나가도 '오 이렇게 변했구나' 알 수 있게끔 시각화를 해볼거에요. 그리고 불법복제물 관련 데이터를 통해 어떤 가설을 세울 수 있는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data.go.kr)에서 찾습니다. 저는 데이터를 살펴보고자합니다. 2017년 이후의 자료는 문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