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드스테이츠 PMB 14]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는 어떻게 돈을 벌까?Product Management Boot camp 2022. 9. 5. 16:23
지난 번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의 CVC(Customer Value Chains) 를 유저저니맵으로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는 어떤 비즈니스모델을 구상하고 있을까요.
출처: 카카오 크게 보면 카카오 이모티콘는 보급형 이모티콘을 제공해주는 무료 모델이지만 부분 유료화가 큰 포션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 누적 구매자는 2017년 1,700만 명에서 2019년 2,100만 명으로 성장했습니다. 2021년 기준, 매출이 10억 원이 넘는 이모티콘이 92개가 된다고 합니다. 1억 원 이상의 누적 매출이 발생한 이모티콘은 1,392개고요. 이모티콘 작가라는 새로운 직업군을 만들 정도로 소비자는 이모티콘 시장을 필요로 하고있습니다.
하지만 누적 구매, 시장 규모는 어마어마한 수를 보여주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연간 구매자 수는 줄어들었습니다.
2016년에는 400만명 가까이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구매했더라면 2019년에는 100만명으로 눈에띄게 줄어들었습니다.
출처: 쪼렙 서비스 기획자의 기획공부일지. https://brunch.co.kr/@b30afb04c9f54dc/29 이처럼 카카오톡 이모티콘 누적 발송량은 2,200억 건이나 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이모티콘을 사용하지만, 새로운 이모티콘을 구매하는 사람은 감소하는겁니다. 실제로 저도 이모티콘 구매 횟수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과거에 구매했던 이모티콘을 사용하죠.
카카오톡은 2019년 지난해보다 200만명이 감소한 구매자 수를 보고 정말 놀랐을 것 같아요.
구매자 수 감소는 문제라고 할 수 없죠. 현상입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은 이러한 현상에서 보이는 고객의 니즈와 페인 포인트를 파악해 문제점을 짚어냈겠죠. 그렇게 카카오톡 이모티콘은 2021년 1월 해결책을 내놓습니다.
바로 이모티콘 구독형 서비스인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입니다.
기존의 '무료모델 + 부분 유료화' 비즈니스 모델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유형을 추가한거죠.
바로 '유료모델 + 구독'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카카오 이모티콘의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 실제로 출시 10개월 만에 이용해본 고객이 1000만 명이나 되었습니다. 이미 몇몇 종류의 이모티콘을 가지고 있지만 월 3,900원이라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이모티콘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 많은 이용자를 유입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첫 달 무료라는 마케팅으로 진입장벽을 많이 낮추기도 했고요. 이는 단순히 소비자에게만 좋은 혜택일 뿐만 아니라 이모티콘 작가들에게도 수익 증가라는 이점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전 비즈니스모델에서는 신규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일시적인 수익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이모티콘 플러스를 통해 예전에 출시한 상품들과 신규 이모티콘이 같이 사용되면서 장기적인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이로인해 이모티콘에 새로운 생태계를 키워가고 있죠. 카카오 입장에서는 줄어드는 신규 구매자로 인해 감소됐던 수익을 이모티콘 구독자를 통해 메꿀 수 있는 전략이될 수 있었습니다.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간략히 한두가지로 요약해보자면,
- 목표 고객 : 목표 고객은 어떻게 되는가?
- 카카오톡 이모티콘 사용이 잦은 젊은 층
- 제공 가치 : 제공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다른 경쟁사와 다르게 고유하게 제공하는 가치가 있는가?
-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규 이모티콘
- 누적된 이모티콘 수(다양한 이모티콘 제공)
- 대화 맥락에 맞는 이모티콘 추천 기능
- 채널 : 고객에게 제품을 어떻게 전달하는가? 고객과의 접점은 무엇인가?
- 카카오톡
- 인터넷 짤(카톡 대화 등)
- 고객 관계 : 대표 고객군과의 관계는 어떻게 만들고 있는가?
- 이모티콘 샵
- (첫 유저) 이벤트 프로모션
- 수익 구조 : 수익 구조는 어떻게 되는가? 어떻게 돈을 벌고 있는가? (매출 - 비용)
- 월 구독료
- 핵심 자원 : 수 많은 자원들 중 가장 핵심적으로 필요한 자원은 무엇인가? (이 자원이 없으면 경쟁사에 밀릴 수 있음)
- 이모티콘 작가
- 이모티콘 추천 기술
- 핵심 활동 : 기업이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 또는 성장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하고 있는 활동은 무엇인가?
- 새로운 이모티콘 출시
- 핵심 파트너십 : 긴밀하게 협업하는 이해관계자는 누구인가?
- 이모티콘 작가
- 카카오 계열사(과거 카카오뱅크 이모티콘 지급 이벤트 등...)
- 비용 구조 : 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은 무엇인가?
- 작가 수수료
- 초기 무료체험 마케팅 비용
이 내용을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 얹혀보겠습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 플러스의 고객 유입에서 강한 경쟁력을 가집니다.
앞선 게시글 유저 시나리오에서도 다룬 것 처럼 고객이 이모티콘 플러스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요.
카카오톡 이모티콘 플러스를 사용할만한 가치:
- 이모티콘 고르는 시간을 절약해준다. (이모티콘 구매 상황, 대화에서 이모티콘 고르는 상황)
- 2,000원짜리 이모티콘을 갖고싶을 때마다 매번 사는 것보다 월 구독료 3,900원이 저렴해 보이는 효과...?
Lock in 요소:
- 이모티콘 추천 기능
- 신규 이모티콘을 포함한 이모티콘 무제한 사용 가능
- 락인 요소는 사실 잘 못 찾았어요... :)
우리 제품을 써야하는 이유:
- 저렴한 월 구독료
- 이모티콘은 대화를 더 풍성하게 만들어 줌 - (친구들이 내가 쓰는 이모티콘에 관심을 가짐?)
Push > Pull > Anxiety > Habit 이 플로우를 떠올려 고객이 계속 우리 제품을 사용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객 유입을 시킨 후 고객을 묶어두기 위해 강력한 Lock in 요소와 제품 사용에 대한 이유를 계속 고민하고 발전시켜야할 듯 합니다.
출처
더보기넷플릭스, 테슬라, 카톡 이모티콘...구독서비스 어디까지 받아봤니 [추적자 추기자]. Last modified 2022.05.07.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05/404329/
카카오이모티콘 https://www.kakaocorp.com/page/service/service/KakaoEmoticon
'Product Management Boot c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14] 아니 1000만명 저 허세 그득그득한 숫자 도대체 뭐냐고! aka.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 (1) 2022.09.07 [코드스테이츠 PMB14] 리디셀렉트는 밀리의 서재와 경쟁하고 있을까? (0) 2022.09.06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 멤버십의 CVC (0) 2022.09.01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떡잎레스토랑의 점심 장사 전략을 위한 인터뷰 (1) 2022.08.31 [코드스테이츠 PMB 14기] W2D2 아 팀장 열받네. 오늘 퇴근하고 비싸고 맛있는거 먹으러가야지. 캐치테이블 지금 예약 가능 서비스 (0) 2022.08.30 - 목표 고객 : 목표 고객은 어떻게 되는가?